eg(전자정부)
이 웹사이트는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웹사이트 입니다.

안전체험관 자료실

교통안전 아이콘 이미지

교통안전

버스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(Post-Accident Plan for Buses)

버스에 탑승했을 때 소화기와 창문을 깨는 비상탈출용 망치의 위치를 확인합니다.

  • 운전자는 클랙슨을 울려 화재 알림
  • 문이 잠겼을 때는 출입문 주변의 비상밸브를 돌려 문을 열고 대피
  • 화재가 발생 시 소리를 치거나 비상벨을 눌러 화재 발생을 알리고 소화기로 화재 진화
  • 문이 열리지 않거나 버스가 물에 잠겼을 때는 비상탈출용 망치를 이용하여 창문 가장자리를 깨고 대피

버스 이용 안전수칙(Safety Rules on the Bus)

  • 하차 시에는 옷이나 가방끈이 걸리지 않도록 조심합니다.
  • 버스 문이 열리면 후방에 오토바이나 자전거가 오는지 확인하고 하차합니다.
  • 버스가 완전히 멈추는 것을 확인하고 승차합니다.
  • 버스가 오는지 차도에 내려서서 확인하지 않습니다.
  • 버스정류장에서 뛰거나 장난치지 않습니다.
  • 승차 후 의자 손잡이를 잡고 빈 좌석에 앉기
  • 안전벨트가 있는 버스는 반드시 안전벨트 착용
  • 안전벨트가 없을 때는 안전봉이나 천장 손잡이 잡기

자전거 보호장비 착용(Correct Wearing of Bicycle Protective Gear)

  • 체인이나 바퀴, 페달에 걸리는 긴 옷이나 끈이 긴 운동화를 착용하지 않습니다.
  • 밝은 색상이나 형광색 옷을 착용하여 야간에도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합니다.
  • 자전거용 안전모를 반드시 착용합니다.
  • 야간에는 후미등이나 반사경을 사용해야 합니다.
안전모 착용방법(Correct Wearing of Hard Hats & Safety Helmets)
  • 안전모와 눈썹 사이 간격 손가락 두개
  • 손가락으로 V자 모양을 만들어 귀가 드러나게
  • 턱과 안전모 사이의 간격은 손가락 한 개

자전거 안전하게 타기(Practice Safe Bicycle Riding Habits)

  • 교통안전 표지와 교통신호에 따라 운행합니다.
  • 휴대전화, DMB 등을 사용하면서 타지 않습니다.
  • 헤드폰, 이어폰 등을 사용하면서 타지 않습니다.
  •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과 전방의 안전을 확인합니다.
  • 자전거 균형에 영향을 주거나 바퀴나 체인에 감길 수 있는 물건은 싣지 않습니다.
  • 방향을 전환할 때는 다른 도로 이용자에게 수신호로 알립니다.
  • 주·정차 차량 주변을 통과할 때에는 자기 쪽으로 열리는 자동차 문에 주의합니다.
자전거 수신호(Hand Signals for Cyclists)
  • 왼쪽 진행
  • 오른쪽 진행
  • 정지
  • 노면조심
  • 서행
  • 한줄로 진행
  • 두줄로 진행
  • 붙여서 진행
  • 자전거 전용도로 표지판
  • 자전거 전용차로 표지판
  • 자전거 횡단보도 표지판
  • 자전거 및 보행자 겸용 도로 표지판
  • 자전거 및 보행자 통행 구분 표지판
  • 자전거 나란히 통행 허용 표지판
  • 자전거 주차장 표지판
  • 자전거 표지판
  • 자전거 통행 금지 표지판

지하철 대피요령(Subway Passenger Evacuation Guide)

지하철 사고 발생 시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리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개폐합니다.

의자의 양옆 하단에 있는 비상커버를 열거나 출입문 옆의 비상핸들을 돌려 문을 엽니다.

열차가 제 위치에 정차했을 때:
손으로 스크린도어의 손잡이 부분을 젖힌 후 좌우로 밀어 개폐
열열차가 제 위치에 정차하지 않았을 때:
출입문을 열면 나오는 비상문의 빨간색 손잡이를 밀어 비상문 개방
불가피한 상황으로 선로를 따라 대피할 때:
전동차가 행하는 방향으로 대피하여 2차 피해 방지

회전교차로 주행방법(Driving Through a Roundabout)

  • 진·출입 시 횡단보도에서 일시정지하기
  • 회전교차로 진입 시 좌회전 방향지시등 켜기
  • 회전교차로 진출 시 우회전 방향지시등 켜기
  • 진입차량은 회전차량에 양보
  • 회전교차로 진입 시 서행
  • 회전교차로는 반시계방향으로 통행
  • 대형차량만 화물차 턱을 이용

횡단보도 보행교육(Safely Using a Pedestrian Crossing)

한국 보행자 교통사고 비율은 OECD 회원국들과 비교해 하위권에 머물고 있습니다. 특히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 구성비는 39.9%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, 평균의 2배 수준입니다. 교통사고는 안전예방을 통해서 90% 이상 막을 수 있습니다.

Among OECD member nations,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highest number of pedestrians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. More concerningly, pedestrians comprise 39.9% of traffic accident fatalities in korea. This is practicaliy twice the OECD average, and naturally the highest. 90% or more of these accidents could be prevented by raising awareness of safety risks and learning prevertive strategies.

  • 녹색신호 시 좌우를 확인하고 건너기
  • 신호가 바뀌자마자 뛰어들기 금지
  • 횡단보도를 이용할 떄는 신호등을 확인하고 보행
  • 모든 차가 정차한 것을 확인한 후 운전자와 눈 마주치며 건너기
  • 자전거 이용 시 내려서 끌면서 건너기
  • 횡단보도 이용 시 휴대전화 게임 및 통화 금지
  • 길을 건널 떄는 오른쪽 화살표 방향으로 건너기